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커피빈 카페베네 등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들이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커피량이 정량에 크게 못미칠 뿐만 아니라 매장에 따라 들쑥날쑥하는 등 커피 품질 관리의 기본인 용량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5일 한국소비자원에 의뢰해 작성한 비교공감(K-컨슈머리포트) 7호에서 이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테이크 아웃 커피의 실제 용량, 카페인 함량, 열량 등에 관한 정보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100개 이상
매장을 가지고 있는 9개 커피전문점 브랜드에서 판매되는 아메리카노와 카라멜마키아또 기본 사이즈(용량 270g~355g) 상품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특정 브랜드의 제품이 정해진 레시피를 잘 지켜 균일한 맛을 내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브랜드별 3개 지점에서 아메리카노와
카라멜마끼아또 각각 10잔씩을 구입했다. 9개 브랜드별 아메리카노와 카라멜마끼아또 30잔씩 총 540잔의 실제 용량을 측정해 최대용량과
최소용량의 차이를 비교했다.
이번 조사 결과 아메리카노의 경우 270개 커피의 평균 용량은 295g이고 최대 용량과 최소 용량간
편차는 평균 60g(각 브랜드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편차가 가장 큰 것은 투썸플레이스 83g(평균용량 311g의 27%), 커피빈
77g(평균용량 300g의 26%)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대·최소 용량간 편차가 가장 작은 브랜드는 카페베네 46g(평균용량 299g의
15%)였다.
스타벅스커피 아메리카노 제품의 경우 조사 대상 30개 제품 용량이 모두 홈페이지와 매장에 안내된 정량보다 적었다.
스타벅스커피는 매장과 홈페이지에 톨 사이즈(기본 사이즈) 용량을 355ml(무게로 환산하면 약 355g)로 표시했는데, 조사 결과 46g 적은
309g(평균치)에 그쳤다. 소비자원은 “스타벅스커피 아메리카노 가격을 감안할 때 46g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500원에 상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소비자들이 표시된 정량에 미치지 못하는 커피를 구입하면서 약 500원씩 손해를 보고 있다는 의미다.
투썸플레이스, 커피빈, 카페베네는 홈페이지에 기본사이즈 기준 용량을 각각 354ml(354g), 12oz(340g), 320g으로
표시했으나 실제 아메리카노 용량은 표시치에 21~43g 부족했다. 파스쿠찌와 엔제리스너스커피, 이디야커피, 탐앤탐스커피, 할리스커피 등 5개
브랜드는 아예 홈페지나 매장에 전혀 커피 용량에 대한 정량 표시를 하지 않았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커피 전문점 측에서는
아메리카노에 들어가는 에스프레소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용량이 적다는 것은 단지 물을 덜 부었을 뿐이며 원가에는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소비자원은 “최적의 맛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커피전문점에서 기본적인 용량관리 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다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에스프레소에 우유, 우유거품, 시럽, 카라멜소스 등이 첨가돼서 용량관리가 치밀하게 이뤄져야 하는 카라멜마끼아또 역시 용량차이가
심각했다. 카라멜마끼아또는 용량 차이가 날 경우 커피 맛에 차이가 나게 돼 있다.
9개 브랜드별 카라멜마끼아또의 최대·최소 용량간
편차는 할리스커피가 131g(평균용량 331g의 40%)로 가장 많았고 투썸플레이스 113g(평균용량 336g의 34%), 스타벅스커피
107g(평균용량 339g의 32%) 순이었다. 반면 커피빈은 51g(평균용량 305g의 17%)으로 가장 적었다.
소비자원은
“동일 브랜드로 판매되고 있는 커피의 용량이 판매지점이나 시점에 따라 이렇게 큰 편차를 보인다는 것은 커피가 레시피대로 제조되지 않아 커피맛의
균일성이 유지되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소비자가 유명 브랜드 커피에 대해 3000~5000원의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커피전문점들이 용량차이 등 기초적인 품질관리도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