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커피 가맹점인 카페베네가 갑작스러운 구조조정과 대표이사 월급반납 등의 비상경영을 선포했다. 이유는 동반성장위원회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이었다.
카페베네는 작년,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사업의 중기 적합업종 지정의 위험이 있으니 고려해보라는 동반위측의 조언을 무시한 채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마인츠 돔’을 인수한 바 있다.
지난달 베이커리는 중기적합업종에 지정되어 연간성장률은 2%로 규제되었고, 소규모 베이커리로부터 500m 내에는 체인점을 낼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마인츠 돔은 신규점포를 내는 것이 불가능해졌으며 카페베네의 외식업 프랜차이즈인 대형 레스토랑 ‘블랙스미스’ 역시 외식업 중기적합업종 지정으로 신규 확장이 불가능해졌다.
이달 초, 매장의 신규 확장을 담당하던 본사 직원의 10%인 100여명이 매장으로 발령 났으나, 이중 70여명은 근무 이전을 원치 않아 퇴직금과 위로금을 받고 퇴사했다. 2008년 사업을 시작한 이래 최초의 인력 구조조정이었다.
이에 더해, 고위직 직원 급료의 30%가 삭감됐으며 김선권 대표 역시 그의 급료 전부를 반납할 예정이라고 했다.
프랜차이즈 사업은 신규점포를 낼 때, 가게 주인으로부터 가맹비와 실내장식비를 받지만 좀 더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본업으로부터 얻는 수익이 주요 수익원천이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카페베네 같은 경우 매출의 50% 이상이 실내장식비에 의존하였으며 영업이익률도 27%였지만, 정작 본업인 커피판매로는 손해를 보고 있는 상황이었다.
기존점포를 유지하고 이익을 내기 위해서 새 점포를 끊임없이 열어야 하는 카페베네의 경영구조를 말해주고 있다.
카페베네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커피 전문점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레스토랑과 드럭스토어, 그리고 베이커리를 인수하였으나, 수익성은 기대에 못 미쳤으며 심지어 드럭스토어는 5개월 만에 사업을 접어야만 했다.
카페베네는 지난 5년간 800개의 가맹점을 열어 급속성장하였다. 김선권 대표는 “해외에서도, 미국과 중국뿐만 아니라 사우디 아라비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그리고 캄보디아에서까지 가맹점을 열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코리아헤럴드)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