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창업 뉴스] 한국인 30명뿐인 이창(宜昌)에 한국식당 성업, 비결이 뭐지?

by 관리자 posted Jan 09, 2013
?

단축키

Prev

Next

ESC

+ - Up Down Comment Print

 

한국인 30명뿐인 이창(宜昌)에 한국식당 성업, 비결이 뭐지?

[머니투데이2013 01-08 11:16]

 

 

2013010805-1.jpg

 

 

 

 

“중국인들이 한국 드라마를 보고 한국음식 먹으러 찾아옵니다. 하루에 100여명이 오는데 90% 이상이 중국인입니다.”


후베이(湖北)성 이창(宜昌)시 윈지(雲集)로에 있는 한국식당 ‘한핀거(韓品閣)’의 이혜령 사장은 “한류(韓流) 영향으로 숯불에 굽는 갈비와 돌솥 비빕밥, 떢볶기 등을 먹으로 중국인들이 자주 찾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사장이 한국식당 한핀거의 문을 연 것은 2007년5월. 세계 최대의 싼샤(三峽)댐이 완공되기 2년 전이다.


지금은 LS전선이 이창에 있는 홍치전선(紅旗電纜)을 인수해 6여명이 파견돼 있고, LS산전 주재원과 싼샤대학에 다니는 교환학생 등 30명 정도가 이창에 살지만 당시는 한국인이 거의 없었다.


한국 사람이 거의 없는데 한국식당을 시작한 것은 모험이 아니었을까. 이 사장은 “싼샤댐이 완성돼 한국 관광객이 찾아올 것을 기대한 것이 사실이지만 현재 한국인 고객은 10%도 안된다”며 “중국인들이 한류 덕분으로 한국음식을 즐겨 먹게 돼 하루에 매출액이 6000위안(108만원) 정도 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비즈니스가 된다 싶으면 생기는 것이 경쟁업자. ‘한핀거’가 인기를 끌자 한국식당이 3개 더 생겼다.


이창시 인구는 현재 500만명 정도. 한국인과 조선족 동포를 합하더라도 60여명에 불과하다. 중국인들이 아무리 한국음식을 좋아한다고 해도 1인당 50위안(9000원) 정도로 비싼 음식을 먹기는 쉽지 않은 일. 이 사장은 “한국 식당이 늘어나면서 손님이 분산돼 예전 같지 않다”고 말했다.


그래도 한핀거는 한국음식 맛을 제대로 낸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창시에서 외국인 기업 중 가장 큰 LS홍치전선에 다니는 주재원들이 한핀거를 자주 찾으면서 ‘한국 사람이 인정하는 한국음식점’이라는 소문이 나서 중국인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

 

기사출처 : 머니투데이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